책/경제경영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위협의 진짜 원인을 알면, 숨겨진 금광이 보인다책/경제경영 2020. 11. 26. 10:22
'콘텐츠의 미래' 열두 번째 전통 제품 vs 디지털 제품 기업들은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보완재와 제품 연결 관계의 영향력을 알아채지 못하고 한 박자 느리게 움직인다. 그런데 굼떠서 늘 실수를 하는 것만은 아니다. 때로는 정반대다. 너무 급하게 행동에 돌입해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음악 산업이 딱 그렇다. 음악 산업이 첫 번째로 범한 오류는 터널 비전(tunnel vission) 현상에 기인한다. 즉 음악의 미래가 CD를 보존하는 데 달려 있다는 믿음 때문에 주변 상황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 두 번째 오류는 원인과 결과의 혼동이다. CD 판매의 감소가 거의 전적으로 해적행위 때문이라고 믿었다. 해적행위는 틀림없는 주범이었다. 해적행위의 증가는 파일 공유의 증가와 거의 동시에 발생했으니까 말이다..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디지털 거인들의 전쟁에서 깨달은 보완재의 교훈책/경제경영 2020. 11. 25. 10:15
'콘텐츠의 미래' 열한 번째 교훈1 : 비전을 좁히지 말고 넓혀라 많은 기업의 관리자들은 왜 보완재를 간과하는 것일까? 콘서트와 CD, 음원과 MP3 플레이어처럼 자사의 핵심 제품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야에서 벌어지는 일을 보면서도 왜 기회를 잡지 못하는 것일까? 녹음실이 성장하는 콘서트 비즈니스에 대한 권리 주장의 기회를 날려버린 이유는 무엇일까? 또는 선발주자로서 먼저 유리한 고지를 차지했던 MP3 플레이어 제조업체가 어떻게 승리의 문턱에서 발목을 잡히게 된 걸까? 가장 큰 이유를 대자면, 오랫동안 우리가 그들에게 그런 기회를 무시하라고 얘기해왔기 때문이다. 지난 수십 년간 경영 세계에서는 ‘집중’과 ‘핵심 역량’을 찬양했다. 그러고는 기업 관리자들에게 “당신이 가장 잘하는 일을 하라”고, “..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콘텐츠 함정을 피하는 두 번째 요소 : 제품 연결 관계를 파악하자!책/경제경영 2020. 11. 21. 21:00
'콘텐츠의 미래' 열 번째 스포츠 마케팅과 연결 관리 : 60년간 스포츠 마케팅계를 장악한 맥 코맥의 성공신화 IMG의 성공 요인을, 사람을 다루는 뛰어난 기술(매코맥의 직감이 뛰어나기로 소문이 나긴 했지만)이나 꼼꼼한 협상 능력, 기업가적 혁신에서 찾으려 하면 안 된다. 물론 이 모든 요소가 성공의 발판이 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성공을 지속시킬 수는 없다. 진정으로 IMG의 성공 신화를 이해할 수 있는 열쇠는 한 가지 사업 원칙에 있다. 그것은 제품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원칙은 IMG뿐만 아니라 오늘날 거의 모든 비즈니스에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이것은 수많은 사업가들이 주장하는 묶음 해제, 제품 중심, 핵심 역량이라는 원칙에 반하는 것이다. 불법 음원 다운로드와 콘서트 : 산업의 ..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텐센트는 어떻게 IM으로 천억 달러를 창출했을까?책/경제경영 2020. 11. 20. 11:23
'콘텐츠의 미래' 아홉 번째 "그리고 우리의 모든 답사가 끝나면, 처음 출발했던 곳에 도착하게 될 거야. 그리고 처음으로 그곳에 대해 알게 되겠지." 네트워크 효과의 이용이나 가격차별화의 이해, 고정비 관리 또는 사용자 콘텐츠를 위한 플랫폼 제작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이 질문에 답할 수 없다. 이 모두가 답이다. 텐센트의 모든 전략은 그 어떤 기업보다도 사용자 연결 관계에 중심이 맞춰져 있다. IM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미디어 제품이다.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제공하고(메시지), 기업은 단지 사용자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만 제공한다. 이 일은 시작하기 쉽고 일단 사용자들이 생기면 확장하기도 쉽다. 이는 IM 사업이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지니기 때문이다. IM의 문제점은 본질적으로 무료 제품이라는 데..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고정비라는 불씨를 관리해 번지는 산불을 막자 (Feat. 월마트와 아마존의 공통점)책/경제경영 2020. 11. 19. 10:26
'콘텐츠의 미래' 여덟 번째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책 한 권의 가치가 10달러 정도가 된다면, 제 생각에는 이 사업도 끝입니다.” 출판사들은 이미 이윤이 줄어드는 상황을 견뎌내고 있었다. 그런데 도서 가격이 50퍼센트나 떨어지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단 말인가? 이런 두려움과 달리, 사실 9.99달러짜리 전자책만 있는 세상이 와도 출판사들은 무사할 수 있다. 만약 종이책이 사라진다면 그에 따른 많은 비용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그렇다면 디지털 콘텐츠가 전통적인 미디어 기업에 불러올 거라던 대재앙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그리고 그 많은 출판사들이 디지털이란 단어만 들려도 겁에 질려 움찔댔던 이유는 뭐란 말인가? 모든 것이 디지털로 변한 세상을 출판사들이 예상하지 못했거나 아니면 그..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연결로 커진 대중의 힘 (Feat. 인터피디아의 실패와 위키피디아의 성공)책/경제경영 2020. 11. 18. 10:12
'콘텐츠의 미래' 일곱 번째 카림 라카니는 하버드경영대학원에서 10년 넘게 대중 연구에 몸담고 있다. 몇 년 전에 그는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른바 대중의 지혜에 의존하는 조직들에 대해 강연한 적이 있다. 바로 이노센티브의 ‘해결사 커뮤니티’ 같은 조직이다. 실험에서 대중에게 제시한 문제는 짧은 비디오나 텍스트 블로그 같은 간단한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문제들과는 다르다. 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수년 혹은 평생을 바쳐가며 연구하던 문제였다. 그런데 대중은 전문가들을 능가하는 해결책을 내놓았다. 이게 도대체 무슨 뜻인가? 이에 대한 설명 중 하나는 대중이 콘텐츠의 전통적 생산 양식을 바꾸어놓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디지털 세상에서는 이미 대중 의존 모델들이 일반적이다. 대중들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 ..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순한 양인 줄로만 알았지만 알고 보니 늑대였던 기업들 (Feat. 넷플릭스)책/경제경영 2020. 11. 17. 09:28
'콘텐츠의 미래' 여섯 번째 실시간 비디오 콘텐츠는 전통적인 텔레비전의 대체 수단으로 점점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것이 유료 텔레비전 산업, 특히 늘 논란의 중심이 되어온 케이블 사업자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케이블 방송에는 세 가지 뜨거운 감자가 있다.1. 채널 묶음판매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소비자 선택 주문 방식 또는 개별판매인 '아라카르트'("식단에 따라서") 옵션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의 문제다.2. 아무 대응도 하지 않으면 두 번째 문제가 등장한다. 케이블 방송을 아예 끊어버리는 ‘코드 커터’다. 그들은 원하는 비디오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다음 스트리밍 방식으로 영상을 재생하는 스트림 비디오를 통해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서 본다.3. 스트리밍에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
[정리] 콘텐츠의 미래 : 뉴욕타임스 성공의 비밀책/경제경영 2020. 11. 16. 11:14
'콘텐츠의 미래' 다섯 번째 네트워크 효과는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을 직접 접속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을 연결한다. 사용자가 제품에 부여하는 가치는 그 제품을 이미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수에 달려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연결은 가능하다. 가격 책정 전략을 생각해보자. 어느 특정 그룹의 선호도에 맞춰 제품 가격을 결정하는 일은 다른 사용자들의 구매 결정에 종종 영향을 끼친다. 네트워크 효과와는 아무 관계가 없지만 그래도 이런 연결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일은 중요하다. 타임스실렉트에서는 다른 콘텐츠는 무료로 제공했던 반면에 특정 유형의 콘텐츠, 특히 논설은 장벽을 세워 독자들의 접근을 막았다. 페이월은 다른 가격 전략을 제시했다. 전체적으로 장벽을 세우지 않고, 한 달에 20건 이상의 기사를 읽..